유일 인수 분해 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은 정역 내의 모든 0이 아닌 원소가 소원들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는 정역을 말한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의 정의는 모든 0이 아닌 원소가 소원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인수 분해는 유일하다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정역으로도 정의된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은 정수환, 가우스 정수환, 아이젠슈타인 정수환, 체, 다항식환 등이 있으며, 대수적 정수환, 복소 평면 위의 정칙 함수 환 등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닌 예시이다. 뇌터 정역에서 높이 1인 모든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되며, 데데킨트 정역은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할 때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수분해 -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는 1보다 큰 모든 양의 정수를 소수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 인수분해 - 행렬 분해
행렬 분해는 주어진 행렬을 특정 성질을 갖는 여러 행렬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수치 해석에서 행렬 알고리즘 구현 및 선형 연립 방정식 해를 구하거나 행렬 특성 분석에 활용되며 LU 분해, QR 분해, 특잇값 분해 등이 있다. - 대수적 수론 - 아이디얼
아이디얼은 유사환에서 환의 원소와의 곱셈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군으로, 왼쪽, 오른쪽, 양쪽 아이디얼로 나뉘며 가환환에서는 세 개념이 일치하고, 환 준동형사상의 핵으로 나타나 잉여환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디얼 수 개념에서 유래하여 추상대수학의 주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대수적 수론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 가환대수학 - 매개계
매개계는 뇌터 국소 가환환과 유한 생성 가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가군의 길이와 크룰 차원을 활용하여 정칙 국소환에서 정칙 매개계의 성질을 규명하고, 추상대수기하학에서 기하학적 대상의 분류와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환대수학 - 크룰 차원
크룰 차원은 환 내의 소수 아이디얼 체인의 길이를 이용하여 정의되며, 환론 및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
---|---|
개요 | |
유형 | 정역 |
성질 | 가환환 |
정의 | 모든 기약원이 소원인 정역 |
정의 | |
영어 명칭 | unique factorization domain (UFD) |
프랑스어 명칭 | anneau factoriel |
설명 | 정역의 일종으로, 모든 0이 아닌 원소가 가역원이 아닌 기약원들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는 환을 말함. |
추가 설명 | 예를 들어 풀비츠 사원수 전체의 환이 비가환 UFD의 예임. |
예시 | |
포함 관계 | 유클리드 정역 ⊆ 주 아이디얼 정역 ⊆ 가우스 정역 ⊆ 정역 |
설명 | 정수환, 다항식환 등. |
주의사항 | 유일 인수 분해환이 아닌 환의 예로는 {a + b√(-5) | a, b ∈ ℤ}가 있음. |
성질 | |
기약원과 소원의 관계 | 가환환 R의 원소 x에 대해, (x)가 소 아이디얼이면 x는 소원이고, x가 소원이면 x는 기약원임. |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의 관계 |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는 기약원과 소원의 개념이 일치함. |
뇌터 환 조건 | 뇌터 환은 모든 아이디얼이 유한 생성 아이디얼이라는 조건을 만족함. |
추가 설명 | 뇌터 정역에서는 임의의 원소가 기약원들의 곱으로 표현되지만, 그 표현이 유일하지 않을 수 있음. |
2. 정의
정역 가 주어졌을 때,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역을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고 한다.
- 모든 0이 아니면서 가역원도 아닌 원소는 유한한 수의 기약원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인수 분해는 가역원과 순서를 무시하면 유일하다.
- 모든 0이 아니면서 가역원도 아닌 원소는 유한한 수의 소원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정역 이다. 의 0도 아니고 가역원도 아닌 모든 원소 는 의 유한한 기약원 ()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이 표현은 다음의 의미에서 유일하다. 만약 이 의 기약원이고
: ()
이라면, 이고, 지표 의 적절한 순열 가 존재하여, 모든 에 대해 와 가 동반(associated) 관계에 있다. 즉, 각각의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가역원 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기약원으로의 분해 유일성을 보이는 것은 까다로울 수 있다. 이때, 정역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는 것은 0도 아니고 가역원도 아닌 모든 원소가 소원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조건과 동치임을 이용하면 유용할 수 있다.
3. 성질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가환환 ⊋ 정역 ⊋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 ⊋ 크룰 정역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주 아이디얼 정역 ⊋ 유클리드 정역 ⊋ 체
데데킨트 정역 의 경우,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즉, 데데킨트 정역에서 아이디얼 유군은 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정도를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정수에 대해 정의된 몇몇 개념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UFD)에 대해서도 일반화되어 정의된다.
- UFD에서는 기약원은 반드시 소원이다. (일반적인 정역에서는 모든 소원이 기약원이지만, 그 역이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4] 또한, 주 아이디얼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ACCP)을 만족하는 정역에서는 모든 기약원이 소원이면 UFD가 된다.
- UFD의 임의의 두 원소 ''a'', ''b''는 최대공약원과 최소공배원을 갖는다. 여기서 ''a''와 ''b''의 최대공약원은 ''a''와 ''b''를 모두 나누는 원소 ''d''이며, ''a''와 ''b''의 다른 모든 공약원은 ''d''를 나눈다. ''a''와 ''b''의 모든 최대공약원은 서로 동반원이다.
- 모든 UFD는 정수적으로 닫혀 있다. 즉, UFD 의 분수체를 라고 할 때, 의 원소 가 에 계수를 갖는 모닉 다항식의 근이라면, 는 반드시 의 원소이다.
- UFD 의 곱셈적으로 닫힌 집합 에 대하여, 국소화 역시 UFD이다.
3. 1. 유일 인수 분해의 충분 조건
'''가우스 보조정리'''(Gauss’ lemmaeng)에 따르면,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에 대하여, 그 다항식환 역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뇌터 정역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7]
-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높이가 1인 모든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다.
'''나가타 보조정리'''(Nagata’s lemmaeng)는 다음과 같다.[6] 가 뇌터 정역이며, 가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오슬랜더-북스바움 정리'''(Auslander–Buchsbaum theoremeng)에 따르면, 모든 정칙 국소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6][7][8]
뇌터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에 대하여, 만약 에 대하여 라면, 국소화 역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일반적으로, 정역 ''A''에 대해 다음 조건은 동치이다.
# ''A''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UFD)이다.
# ''A''의 모든 영이 아닌 소 아이디얼은 소원을 포함한다.
# ''A''는 주 아이디얼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 (ACCP)을 만족하고, 국소화 ''S''−1''A''는 UFD이다. 여기서 ''S''는 소원소에 의해 생성된 ''A''의 곱셈적으로 닫힌 집합이다. (나가타 기준)
# ''A''는 ACCP를 만족하고 모든 기약원이 소원이다.
# ''A''는 원자 정역이고 모든 기약원은 소원이다.
# ''A''는 GCD 정역이고 ACCP를 만족한다.
# ''A''는 Schreier 정역이고,[1] 원자 정역이다.
# ''A''는 전-Schreier 정역이고 원자 정역이다.
# ''A''는 모든 약수가 주 아이디얼인 약수 이론을 갖는다.
# ''A''는 모든 약수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인 크룰 정역이다.
# ''A''는 크룰 정역이고 높이 1인 모든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다.
위 조건들 중 (2)와 (3)은 특정 환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지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아이디얼 정역(PID)의 모든 소 아이디얼은 소원소에 의해 생성되므로, 조건 (2)에 의해 모든 PID는 UFD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높이 1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인 뇌터 정역을 생각해보면, 모든 소 아이디얼은 유한한 높이를 가지므로 높이 1인 주 아이디얼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조건 (2)에 의해 이러한 환 역시 UFD가 된다.
3. 2. 대수적 정수환의 유일 인수 분해
일반적으로, 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일 필요충분조건은 그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군이라는 것이다. 즉, 이는 유수(= 아이디얼 유군의 크기)가 1인 경우이다. (대수적 정수환은 항상 데데킨트 정역이므로, 이 경우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일 조건과 주 아이디얼 정역일 조건이 동치이다.)이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라고 하자. 실수 이차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을 이루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n'' = 2, 3, 5, 6, 7, 11, 13, 14, 17, 19, …
허수 이차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을 이루는 을 '''헤그너 수'''라고 한다. 헤그너 수는 총 9개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n'' = 1, 2, 3, 7, 11, 19, 43, 67, 163
이 양의 정수라고 하며,
:
라고 하자. 또한, 이 을 만족시키는 수라고 하자. 원분체 의 대수적 정수환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은 총 30개가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다.
:''n'' = 1, 3, 4, 5, 7, 8, 9, 11, 12, 13, 15, 16, 17, 19, 20, 21, 24, 25, 27, 28, 32, 33, 35, 36, 40, 44, 45, 48, 60, 84
(만약 인 경우 이므로 중복된다.)
4. 예
수학에서 등장하는 많은 환들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UFD)을 이룬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경우
- 모든 주 아이디얼 정역(PID)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따라서 모든 유클리드 정역 역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정수의 환 (산술의 기본 정리 참조)
- 가우스 정수 환
- 아이젠슈타인 정수 환 (여기서 )
- 모든 체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체에서는 0이 아닌 모든 원소가 가역원이므로 이는 자명하게 성립한다. 유리수체 , 실수체 , 복소수체 , 유한체 등이 포함된다.
- 환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면, 을 계수로 갖는 다항식 환 도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이를 귀납적으로 적용하면, 유일 인수 분해 정역(특히 체 또는 정수 환 ) 위의 임의 개수 변수를 갖는 다항식 환 역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임을 알 수 있다.
- 체 위의 다변수 다항식 환 (단, )은 주 아이디얼 정역이 아닌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의 대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에서 아이디얼 는 주 아이디얼이 아니다.
- 체 위의 형식적 멱급수 환 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더 일반적으로, 주 아이디얼 정역과 같은 정칙 국소환 위의 형식적 멱급수 환도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단,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위의 형식적 멱급수 환 가 반드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 의 소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라면, 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국소환이지만,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 아우스랜더-부흐스바움 정리에 따르면, 모든 정칙 국소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원환 는 인 모든 정수 에 대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일 때는 아니다.
- 모리(Mori)는 자리스키 환(예: 뇌터 국소환)의 완비화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면, 원래의 환도 유일 인수 분해 정역임을 보였다.[1] 이 명제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그 완비화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닌 뇌터 국소환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의 소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는 그 완비화와 함께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유사한 형태인 의 소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그 완비화는 그렇지 않다.
- 표수가 2가 아닌 체 위에서, 가 변수 에 대한 비특이 이차 형식이고 일 때, 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클라인-나가타). 일 때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라는 관계식 때문에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이는 와 가 같은 원소의 서로 다른 인수분해이기 때문이다.
- 원점에서 정칙인, 정해진 개수의 복소 변수를 가지는 함수들의 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2]
- 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환 는 그렇지 않다.
- 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지만, 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2차원 실수 구면의 좌표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복소 구면의 좌표환 는 그렇지 않다.
- 변수 에 가중치 가 주어지고, 가 가중치 를 갖는 동차 다항식이라고 가정하자. 만약 가 와 서로소이고 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며, 위의 모든 유한 생성 사영 가군이 자유이거나 이면, 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3]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닌 경우
- 대수적 정수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예를 들어, 원소 6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기약원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2, 3, , 는 모두 의 기약원이며, 서로 동반원 관계가 아니다.
- 복소 평면 전체에서 정칙 함수인 함수들의 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이는 무한히 많은 영점을 갖는 함수는 유한 개의 기약원(인수)으로 분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복소 사인 함수 는 (은 정수) 형태의 무한히 많은 영점을 가지므로 유한한 인수분해가 불가능하다.
5. 유일 인수 분해가 되지 않는 예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닌 정역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대수적 정수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이 환은 와 가 정수인 형태의 모든 복소수로 구성된 이차 정수환이다. 예를 들어, 원소 6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기약원의 곱으로 인수분해될 수 있다.
이 환에서 단위원은 과 뿐이며, 인수 , , , 는 서로 동반원(associate)이 아니므로, 이 두 인수분해는 실제로 다르다. 이 네 인수가 모두 기약원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대수적 정수 참조)
일반적으로 제곱 인수가 없는 양의 정수 에 대해, 의 정수환은 가 히그너 수가 아니라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되지 못한다.
- 복소 평면 위의 정칙 함수(또는 전해석 함수)들의 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이는 무한히 많은 영점을 갖는 함수는 유한 개의 기약원으로 인수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일 인수 분해 정역에서는 모든 원소가 유한 개의 기약원의 곱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복소 사인 함수 는 다음과 같이 무한 곱으로 표현되며, 무한히 많은 기약 인수를 가진다.
- 다항식환의 잉여환은 대부분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을 가환환이라고 할 때,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아니다. 이 환에서 는 모두 기약원이지만, 라는 관계식 때문에 는 두 가지 다른 기약원 분해 와 를 가진다.
- 뇌터 환이라고 해서 반드시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것은 아니다. 임의의 뇌터 환에서, 0이 아니고 단위원이 아닌 모든 원소는 반드시 기약원의 곱으로 쓸 수 있지만, 그 곱 표현이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6. UFD가 되기 위한 동치 조건
- ''A''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A''의 모든 0이 아닌 소 아이디얼은 소원을 포함한다. (어빙 캡란스키)
- ''A''는 주 아이디얼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 (ACCP)을 만족하고, 국소화 ''S''−1''A''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여기서 ''S''는 소원소에 의해 생성된 ''A''의 곱셈적으로 닫힌 집합이다. (나가타 기준)
- ''A''는 주 아이디얼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 (ACCP)을 만족하고 모든 기약원이 소원이다.
- ''A''는 원자 정역 (영원이 아니며 단원이 아닌 임의의 원소가 기약원의 유한 곱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정역)이고 모든 기약원은 소원이다.
- ''A''는 GCD 정역 (임의의 두 원소에 대해 최대공약수가 존재하는 정역)이고 주 아이디얼에 대한 오름 사슬 조건 (ACCP)을 만족한다.
- ''A''는 Schreier 정역이고,[1] 원자 정역이다.
- ''A''는 전-Schreier 정역이고 원자 정역이다.
- ''A''는 모든 약수가 주 아이디얼인 약수 이론을 갖는다.
- ''A''는 모든 약수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인 크룰 정역이다 (이는 부르바키의 UFD 정의이다).
- ''A''는 크룰 정역이고 높이 1인 모든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다.
실제로 조건 (2)와 (3)은 특정 환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지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주 아이디얼 정역 (PID)의 모든 소 아이디얼은 정의상 소원소(주 아이디얼의 생성원)에 의해 생성되므로, 조건 (2)에 의해 모든 PID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임을 바로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뇌터 환인 정역을 생각해보자. 만약 이 환의 모든 높이 1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라면, 이 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 된다. 왜냐하면 뇌터 환의 모든 소 아이디얼은 유한한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높이에 대한 귀납법을 사용하면) 높이 1인 소 아이디얼을 포함하게 된다. 가정에 의해 이 높이 1 소 아이디얼은 주 아이디얼이고, 따라서 소원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소 아이디얼이 소원을 포함하게 되므로, 조건 (2)에 의해 이 뇌터 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특히 데데킨트 정역 ''R''의 경우,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즉, 데데킨트 정역에서 아이디얼 유군은 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참조
[1]
문서
A Schreier domain is an integrally closed integral domain where, whenever ''x'' divides ''yz'', ''x'' can be written as {{nowrap|1=''x'' = ''x''1 ''x''2}} so that ''x''1 divides ''y'' and ''x''2 divides ''z''. In particular, a GCD domain is a Schreier domain
[2]
논문
P. M. Cohn, ''Noncommutative Unique Factorization Domains''
https://www.ams.org/[...]
[3]
웹사이트
Factorizations of Elements in Noncommutative Rings: A survey
https://arxiv.org/pd[...]
2018-07-24
[4]
문서
素数の、自分自身と {{math|1}} 以外に約元を持たないという性質に対応するものが'''既約元'''、いくつかの数を因子とする積を素数が割るならばその中のある因子がその素数によって割られるという性質に対応するものが'''素元'''である。
[5]
문서
'''シュライアー整域'''とは、整閉整域であって、その任意の元 {{mvar|x}} が積 {{mvar|yz}} を整除する限りにおいて常に、{{mvar|y}} を割る {{math|''x''{{sub|1}}}} と {{mvar|z}} を割る {{math|''x''{{sub|2}}}} を用いて、{{math2|''x'' {{=}} ''x''{{sub|1}}''x''{{sub|2}}}} の形に書けるものをいう。特に GCD 整域はシュライアー整域である。
[6]
서적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Springer-Verlag
1995
[7]
서적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06
[8]
저널
Unique factorization in regular local rings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